라오스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 요리는 라오스 사람들의 이동과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찹쌀, 다양한 채소, 허브, 향신료, 육류, 어류, 곤충, 과일 등을 활용한 다채로운 음식을 선보인다. 굽기, 삶기, 끓이기, 찌기, 섞기 등 다양한 조리법을 사용하며, 찹쌀을 주식으로 밥, 면, 빵, 디저트 등 다양한 형태로 즐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라브, 남톡, 폰과 같은 샐러드, 쨈, 캅 껭, 아한 핑, 아한능, 다양한 쌀 요리, 면 요리, 빵, 디저트 등이 있으며, 비어라오, 라오 하이, 라오 라오 등의 음료도 즐겨 마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 요리 - 랍
라오스와 태국 북부에서 즐겨 먹는 랍은 다진 고기나 생선에 허브, 향신료, 어장 등을 넣어 만든 샐러드 형태의 요리로, 날것 또는 익혀서 먹으며 라오스에서는 설날에 행운을 기원하며 먹는 상징적인 음식이다. - 라오스 요리 - 풋파파야 샐러드
풋파파야 샐러드는 라오스에서 유래하여 동남아시아로 전파된 음식으로, 덜 익은 파파야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태국의 쏨땀처럼 각 나라별 특색있는 맛과 조리법을 가지고 다양한 과일이나 채소를 추가하여 만들기도 한다. - 요리에 관한 - 음료
음료는 액체 형태로 섭취하는 물질로서 물, 우유와 같은 필수 영양소 공급원부터 차, 커피, 맥주, 와인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종교적 의식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현대 사회에서는 생산, 유통,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요리에 관한 - 유제품
유제품은 소, 양, 염소 등 포유류의 젖으로 만든 식품으로, 우유, 치즈, 버터,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이 있으며 칼슘, 단백질 등 영양소를 공급하지만 유당불내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생산 과정에서 윤리적, 환경적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라오스 요리 | |
---|---|
지도 | |
개요 | |
명칭 (라오어) | ອາຫານລາວ |
로마자 표기 | Ahan Lao |
분류 | 동남아시아 요리 |
특징 | 맵고, 허브와 향신료를 많이 사용, 찹쌀밥이 주식 |
영향 받은 요리 | 태국 요리, 베트남 요리 |
영향 준 요리 | 캄보디아 요리 |
식재료 및 특징 | |
주식 | 찹쌀 |
주요 재료 | 허브 향신료 채소 육류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민물 생선 곤충 젓갈 |
소스 및 양념 | 쁠라덱 (ปลาร้า: 발효 생선 소스) 파덱 (ປາແດກ: 발효 생선 소스) 남빠 (น้ำปลา: 생선 소스) 고추 마늘 라임 생강 갈랑갈 레몬그라스 고수 민트 |
조리법 | 굽기 찌기 삶기 튀기기 날것으로 먹기 |
주요 요리 | |
샐러드 | 땀막훙 (ຕໍາໝາກຫຸ່ງ, 그린 파파야 샐러드) 랍 (ລາບ, 다진 고기 샐러드) 얜 (ແກງ, 매운 샐러드) |
국/찌개 | 깽노마이 (ແກງໜໍ່ໄມ້, 죽순 수프) 깽쩨우 (ແກງເຈືອ, 허브 수프) 깽키렉 (ແກງຂີ້ເຫຼັກ, 키렉잎 수프) 카오삐약 (ເຂົ້າປຽກ, 국수) 카오쏘이 (ເຂົ້າຊອຍ, 면 요리) |
메인 요리 | 핑까이 (ປີ້ງໄກ່, 구운 닭고기) 핑빠 (ປີ້ງປາ, 구운 생선) 어우람 (ອໍ້ລາມ, 고기 스튜) 카이판 (ເຂົ້າພັນ, 쌀국수 말림) 사이우아 (ໄສ້ອົ່ວ, 소시지) |
기타 | 카오냐우 (ເຂົ້າໜຽວ, 찹쌀밥) 카우람 (ເຂົ້າຫຼາມ, 대나무 통에 찐 찹쌀) 커우찌 (ເຂົ້າຈີ່, 찹쌀 팬케이크) 남카우 (ເຂົ້າໜົມ, 튀긴 쌀국수) 삥까이 (ປີ້ງໄກ່, 구운 닭) 짜오 (ແຈ່ວ, 라오스식 소스) |
식사 예절 | |
식사 방식 | 손으로 먹거나 숟가락과 젓가락 사용 찹쌀밥을 주먹으로 뭉쳐 먹음 |
식사 문화 | 여럿이 함께 식사 음식을 남기지 않는 것이 예의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TasteAtlas: Laos Michelin Guide: Laos Culinary Capital |
2. 역사
라오스 사람들은 원래 현재 중국에 속한 북부 지역 출신으로,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전통을 가져왔다.[6] 이러한 이동은 라오스 요리가 태국 북동부 지역[7][8][9][10][11], 캄보디아[12], 태국 북부[8][13] 등 라오스 사람들이 이주한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라오스 요리는 태국 북동부 이산 지역의 요리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라오스보다 6배나 많은 라오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의 음식 문화는 사실상 라오스 요리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태국 정부의 국가 통합 정책으로 인해 이산 지역의 문화는 '태국화'되려는 압력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라오스 요리는 태국 요리로 잘못 알려지거나, 라오스 요리라는 이름으로 제대로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다. 실제로 많은 태국 식당에서 제공되는 요리의 상당수가 라오스 요리에서 유래했지만, 라오스 요리는 여전히 서구 사회에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심지어 라오스 이민자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조차 태국 음식으로 홍보되는 경우가 흔하다.
== 재료 ==
대부분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처럼 라오스는 인도와 중국 문화의 큰 영향을 받았다. 고대 중국과 직접 무역을 했지만, 인도의 영향이 더 컸다. 인도교, 불교, 이슬람의 전파는 인도의 전통과 문화를 동남아시아에 전파했고,[14][15] 불교 승려들은 인도의 향신료, 카레, 코코넛 밀크를 라오스에 소개했다.[16] 하지만 이웃 국가들과 달리 라오스 요리는 찹쌀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코코넛 밀크와 국수는 부차적인 역할을 했다.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토마토, 파파야, 옥수수, 파인애플, 고추 등 외래 작물이 필리핀[18]과 말라카[18]를 거쳐 태국,[17] 캄보디아,[17] 베트남의 항구를 통해 동남아시아에 유입되었다.[17] 포르투갈 등 유럽인들과의 무역으로 이러한 작물의 재배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16세기 중반부터 유럽 탐험가들이 라오스를 탐험하고 무역을 하면서 라오스 요리가 서구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페르낭 메네스 핀토(1542-1545),[19] 디오고 벨로소와 블라스 루이스(1596),[17] 게바르트 판 우스토프(1641),[20] 조반니 필리포 데 마리니(1642-1648),[21] 장-바티스트 팔레고익스(1830), 앙리 무오(1861) 등이 라오스를 방문하여 기록을 남겼다. 시몽 드 라 루베르(1642-1729)는 18세기 초 시암에서 파파야 재배가 널리 퍼져 있었음을 관찰했고,[22] 팔레고익스는 파파야와 고추가 라오스에 완전히 통합되었음을 확인했다.[23][24][25][26][27] 무오는 라오스 사람들이 고추를 매우 좋아한다고 기록했다.[28] 프랑스 식민 지배는 빵 등 서양 음식 문화의 유입으로 이어졌다.
3. 라오스 요리와 태국 요리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중부 태국 사람들에게 라오스 음식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라오스 사람들이나 북동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방콕에서는 북동부 출신 권투 선수들이 모이는 권투 경기장 주변이나, 북동부 출신 건설 노동자들이 일하는 건설 현장 근처의 이동식 음식 판매대에서만 볼 수 있었다. 베트남 전쟁 이후 많은 라오스 난민들이 태국으로 이주했고, 미트라파프 도로(Mittraphap Road)와 북동부 철도의 개통으로 인해 이산 지역 사람들이 중부 태국과 방콕으로 대규모 이주하면서 라오스 요리의 인기가 높아지고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중산층 방콕 사람들은 국가 요리의 표준화 과정에서 라오스 요리의 일부만을 받아들였고, 고추를 줄이고 설탕을 늘리는 등 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시켰다. 발효 생선이나 곤충 요리와 같이 태국인들이 선호하지 않는 음식들은 무시되었다. 세계에 소개될 때 이러한 요리들은 '태국 음식'으로 소개되었고, '라오스'라는 단어는 국가 통합을 위한 '태국화(Thaification)' 정책으로 인해 거의 언급되지 않거나, 심지어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태국화 과정은 북동부 사람들에게 사회적 차별을 야기했지만, 최근에는 이산 지역 젊은이들 사이에서 라오스 정체성에 대한 자긍심이 커지고 있다. 서구 사회에서도 라오스 이민자 공동체가 상당하지만, 태국 식당에서 제공되는 라오스 요리는 여전히 '태국 음식'으로 홍보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좋아하는 태국 음식, 예를 들어 솜땀(som tam), 랍(larb), 찹쌀(sticky rice)이 사실은 라오스 요리의 태국식 버전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심지어 라오스 이민자들이 운영하는 식당조차도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태국 식당으로 홍보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 초기 태국 식당을 개업한 라오스 출신의 케오 사나니콘은 라오스 음식이 아닌 태국 음식으로 식당을 운영했는데, 이는 라오스 음식이 미국에서 성공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
4. 재료
라오스 요리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식은 찹쌀이지만, 여러 종류의 쌀도 사용한다. 다양한 채소와 허브도 풍부하게 활용되는데, 고수, 민트, 바질, 레몬그라스, 생강, 갈랑갈, 라임잎, 죽순, 아카시아, 야낭 잎 등이 대표적이다. 고추, 마늘, 샬롯, 타마린드, 그리고 파댁(생선 발효 소스) 등 다양한 향신료도 요리의 풍미를 더한다.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오리고기, 물소고기 등 다양한 육류와 민물고기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어류도 사용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 곤충을 사용하기도 하며, 망고, 파파야, 바나나, 파인애플, 두리안 등 다양한 열대 과일도 요리에 활용된다. 특히, 양강근은 수프에 자주 넣어 먹고, 라임 잎은 수프나 찌개류에 항상 넣는다. 발효한 파파야는 레몬 잎과 함께 향신료에 절인 샐러드로 먹는다. 타마린드는 콩과 식물로 수프에 잎과 함께 넣는다. 아카시아(라오스에서는 차옴이라 부른다)는 오믈렛, 수프, 향신료로 사용된다.
'''다양한 채소, 허브, 향신료'''는 라오스 요리의 중요한 특징이다. 태국 바질은 푸와 함께 생으로 먹고, 죽순은 스튜나 삶아서 곁들인다. 바나나 꽃은 국수 수프에 넣거나 다른 요리에 익혀 먹는다. 7가지 종류의 고추가 있으며, 다양하게 활용된다. 등나무 아카시아는 수프, 카레, 오믈렛, 볶음 요리에 사용하고, 고수 잎과 씨앗은 소스, 마리네이드, 다양한 요리에 첨가한다. 오이는 파파야 대신 샐러드에 사용하기도 한다. 갈랑갈은 수프, 혼합 요리, 마리네이드에, 마늘과 생강은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카피르 라임은 수프와 스튜에, 카이펜은 메콩강 해조류 건조품이다. 라오 바질, 라오 고수, 라오 가지는 스튜에 넣거나 생으로 먹는다. 레몬그라스는 수프, 스튜, 마리네이드에, 라임은 많은 요리에 사용한다. 박하는 랍에 넣거나 생으로 먹고, 미드나잇 호러는 쓴맛이 나는 녹색 채소로 생으로 먹는다. 식용 버섯은 수프와 볶음 요리에, 니임은 쓴맛이 나는 채소로 생으로 먹는다. 푸른 파파야는 매운 파파야 샐러드에, 등나무 순은 스튜에 사용된다. 붉은 등나무 꽃은 수프와 카레에, 사칸은 스튜에 사용된다. 샬롯은 다양한 요리에, 타마린드는 신맛이 나는 과일로 수프나 간식으로 먹는다. 타마린드 잎은 수프에, 토마토는 장식이나 파파야 샐러드에, 야생 토마토는 스튜와 카레에 사용한다. 물 시금치는 볶거나 쪄서 먹거나 생으로 먹고, 야생 베텔 잎과 야낭 잎은 생으로 먹거나 수프, 스튜의 조미료로 사용한다. 긴콩은 생으로 먹거나 스튜에 넣거나 매운 콩 샐러드로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소스도 라오스 요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맑은 생선 소스인 남 빠는 일반적인 조미료로 사용되고, 파댁은 라오스식 생선 페이스트이다. 간장 또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라오스 요리에는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등 다양한 육류가 사용된다. 특히, 피단(말 오줌 계란)은 오리알을 삭힌 독특한 요리이다. 돼지 피 덩어리와 삼겹살도 흔히 사용되는 재료이며, 말린 물소 가죽은 쩨우봉 및 찜 요리에 사용된다. 사이 우아라는 라오스식 소시지는 다양한 고기와 허브, 고추를 넣어 수제로 만든 독특한 신맛이 나는 소시지이다. 사이 코크, 신 헨, 신 톡, 솜 무, 솜 파, 목 파, 목 카이 파, 목 카이 등도 다양한 육류 요리이다.
라오스는 내륙국이지만, 다양한 민물고기를 섭취한다. 라브 생선은 라오스식 생선 샐러드이고,[50] 목 파는 바나나 잎에 싸서 찐 생선 요리이며,[51] 생 새우는 갓 짜낸 레몬즙, 향신료, 어장을 곁들인 요리이다.[52]
라오스에서는 다양한 곤충을 식용으로 사용한다. 국가별 식용 곤충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라오스에서는 수박, 파인애플, 설탕사과, 칡사과, 롱간, 리치, 아시아배, 망고, 로즈애플, 바나나, 자크푸르트, 람부탄, 어린 코코넛, 오렌지, 단맛이 나는 타마린드, 파파야, 두리안, 사탕수수, 푸멜로, 사포딜라, 구아바, 스타애플, 망고스틴, 멜론, 산톨, 랑삿, 포도, 수리남 체리 등 다양한 과일이 재배되고 요리에 활용된다. ''mak yom''과 ''mak num nom'' 등의 과일도 있다. 수박, 파인애플, 설탕사과, 칡사과, 롱간, 리치, 아시아배, 망고, 로즈애플, 바나나, 자크푸르트, 람부탄, 코코넛, 오렌지, 타마린드, 파파야, 두리안, 사탕수수, 푸멜로, 사포딜라, 구아바, 스타애플, 망고스틴, 멜론, 산톨, 랑삿, 포도, 수리남 체리
4. 1. 쌀과 면
라오스 요리에서 쌀은 주식이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특히 찹쌀(ເຂົ້າໜຽວ; kʰa᷆w.nǐaw)은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 끈적끈적한 특징이 있으며, 여러 요리에 활용된다. 또한, 녹두 전분과 물로 만든 투명한 당면(ເສັ້ນລ້ອນ; se᷆n.lɔ̂ːn)은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쓰인다. 3일간 발효시킨 쌀로 만든 신선한 쌀국수인 카오푼(ເສັ້ນເຂົ້າປຸ້ນ; se᷆n.kʰa᷆w.pûn)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쌀로 만든 국수인 쌀국수(ເສັ້ນເຝີ; se᷆n.fɤ̌ː)는 베트남의 포와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단어는 베트남어에서 유래했지만, 라오스에서 사용되는 쌀국수는 베트남 포와는 다를 수 있다.
4. 2. 채소, 허브, 향신료
라오스 요리에는 다양한 채소, 허브, 향신료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태국 바질(태국 바질)은 푸(푸)와 함께 생으로 먹고, 죽순(죽순)은 스튜에 사용하거나 삶아서 곁들인다. 바나나 꽃(바나나)은 국수 수프에 생으로 넣거나 다른 요리에 익혀 먹는다. 고추(고추)는 7가지 인기 있는 종류가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등나무 아카시아(등나무 아카시아)는 수프, 카레, 오믈렛, 볶음 요리에 사용되고, 고수(고수)는 잎과 씨앗 모두 소스, 마리네이드, 다양한 요리에 첨가된다. 오이(오이)는 장식이나 파파야 대신 샐러드에 사용된다. 갈랑갈(갈랑갈)은 수프, 혼합 요리, 마리네이드에, 마늘(마늘)과 생강(생강)은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카피르 라임(카피르 라임)은 수프와 스튜에, 카이펜(카이펜)은 김과 유사한 메콩강 해조류 건조품이다.
라오 바질(라오 바질), 라오 고수, 라오 가지(라오 가지)는 스튜에 사용하거나 생으로 먹는다. 레몬그라스(레몬그라스)는 수프, 스튜, 마리네이드에, 라임(라임)은 많은 요리에 사용된다. 박하(박하)는 랍(랍)에 사용하거나 생으로 먹고, 미드나잇 호러(미드나잇 호러)는 쓴맛이 나는 녹색 채소로 생으로 먹는다. 식용 버섯(식용 버섯)은 수프와 볶음 요리에, 니임(니임)은 쓴맛이 나는 채소로 생으로 먹는다. 푸른 파파야(파파야)는 매운 파파야 샐러드에 사용되고, 등나무 순(등나무)은 스튜에 사용된다. 붉은 등나무(붉은 등나무) 꽃은 수프와 카레에, 사칸(사칸)은 스튜에 사용된다. 샬롯(샬롯)은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타마린드(타마린드)는 신맛이 나는 과일로 수프나 간식으로 먹는다. 타마린드 잎은 수프에, 토마토(토마토)는 장식이나 파파야 샐러드에, 야생 토마토는 스튜와 카레에 사용된다. 물 시금치(물 시금치)는 볶거나 쪄서 먹거나 생으로 먹고, 야생 베텔 잎(야생 베텔)과 야낭 잎(야낭)은 생으로 먹거나 수프, 스튜의 조미료로 사용된다. 긴콩(긴콩)은 생으로 먹거나 스튜에 넣거나 매운 콩 샐러드로 만들 수 있다.
4. 3. 소스류
피시 소스(남 빠, , 이산어: น้ำปลา, )는 맑은 생선 소스로, 라오스 요리에서 일반적인 조미료로 사용된다. 파댁(, 이산어: ปลาแดก, )은 라오스식 생선 페이스트이다. 간장 또한 다양한 라오스 요리에 사용된다.
4. 4. 육류
라오스 요리에는 다양한 육류가 사용된다. 피단(''khai niaow ma''; 직역: '말 오줌 계란')은 오리알을 삭힌 것으로 독특한 맛을 자랑한다. 돼지 피 덩어리는 라오스 요리의 재료로 쓰이며, 삼겹살("세 겹 돼지고기"; , 이산어: ซี้นหมูสามซั้น; )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말린 물소 가죽 (; )은 쩨우봉 및 찜 요리에 사용된다. 그 외에도 사이 우아(Sai Oua) 라는 라오스식 소시지가 있는데, 다양한 고기(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와 허브, 고추 등을 넣어 수제로 만들어 독특한 신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사이 코크(Sai Khok), 신 헨(Sin Hen), 신 톡(Sin Tok), 솜 무(Som Moo), 솜 파(Som Pa), 목 파(Mok Pa), 목 카이 파(Mok Kai Pa), 목 카이(Mok Kai) 등도 라오스의 다양한 육류 요리이다.
4. 5. 어류
라오스는 내륙국이지만 다양한 종류의 민물고기를 섭취한다. 대표적인 라오스 생선 요리로는 다음과 같다.
4. 6. 곤충
라오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곤충을 식용으로 사용한다. 국가별 식용 곤충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7. 과일
라오스에서는 다양한 과일이 재배되고 요리에 활용된다. 대표적인 과일로는 수박, 파인애플, 설탕사과, 칡사과, 롱간, 리치, 아시아배, 망고, 로즈애플(워터애플), 바나나, 자크푸르트, 람부탄, 어린 코코넛, 오렌지, 단맛이 나는 타마린드, 파파야, 두리안, 사탕수수, 푸멜로, 사포딜라, 구아바, 스타애플, 망고스틴, 멜론, 산톨, 랑삿, 포도, 수리남 체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mak yom''과 ''mak num nom'' 등의 과일도 있다. 수박, 파인애플, 설탕사과, 칡사과, 롱간, 리치, 아시아배, 망고, 로즈애플, 바나나, 자크푸르트, 람부탄, 코코넛, 오렌지, 타마린드, 파파야, 두리안, 사탕수수, 푸멜로, 사포딜라, 구아바, 스타애플, 망고스틴, 멜론, 산톨, 랑삿, 포도, 수리남 체리
5. 조리법
굽기, 삶기, 끓이기, 찌기, 겉을 익히기, 그리고 섞기(샐러드처럼) 등 다양한 조리법이 사용된다. 특히 볶음 요리는 흔하지만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채소와 야낭(ya nang) 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튜는 종종 녹색을 띤다. '핑(ping)'은 구운 것을 의미하며, 핑 가이(ping gai)는 구운 닭고기, 핑 신(ping sin)은 구운 고기, 핑 파(ping pa)는 구운 생선을 가리킨다. 굽기 전 고기에는 다진 마늘, 다진 고수 뿌리, 다진 갈랑갈, 소금, 간장, 생선 소스 등의 양념을 할 수 있다. 전형적인 라오스 아궁이 또는 화로는 '타오-로'(tao-lo)라고 불리며 숯을 연료로 사용한다. 양동이 모양으로 위에 냄비나 프라이팬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웍은 라오스어로 '마우 캉'(maw khang)이라고 하며, 볶음 요리에 사용된다. 찹쌀은 '후앗'(huad)이라고 불리는 대나무 바구니 안에서 찐다. 이 바구니는 '마우 능'(maw nung)이라고 불리는 냄비 위에 놓인다. '콕'(khok)이라고 불리는 크고 깊은 절구는 탐막훙(tam mak hoong)과 다른 음식을 빻는 데 사용되며 라오스 부엌에서 없어서는 안 될 물건이다.
6. 식사 예절
라오스 요리의 전통적인 식사는 공동체 중심적이었다. 나무 바닥에 갈대 매트를 깔고, 칸토크라고 불리는 등나무로 만든 높이 올라온 플랫폼에 둘러앉아 식사를 했다. 음식은 표준 크기의 칸토크에 정돈되어 제공되며, 인원이 많으면 여러 개의 칸토크를 준비한다. 각 칸토크에는 찹쌀 바구니가 놓여 있고, 모든 사람이 함께 찹쌀을 나누어 먹는다.
최근에는 칸토크에서 식사하는 것이 드물어졌지만, 사찰에서는 여전히 이 관습이 유지된다. 가정에서는 식탁을 차리는 것을 ‘탱 파카오(taeng pha kao)’ 또는 ‘파카오(phah kao)’ 준비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수저는 수프와 흰 쌀밥에만, 젓가락(ໄມ້ທູ່, mai thu)은 국수에만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음식은 손으로 먹었다. 이는 찹쌀을 손으로 먹는 것이 편리했기 때문일 것이다.
라오스 음식은 보통 수프, 구운 요리, 소스, 채소, 그리고 스튜 또는 섞어 만든 요리(koy 또는 laap)로 구성된다. 채소는 신선한 생채소, 허브, 기타 채소가 사용되며, 요리에 따라 찐 채소나 데친 채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음식은 순서대로 먹지 않고, 수프는 식사 내내 조금씩 마신다. 물을 포함한 음료는 일반적으로 식사의 일부가 아니며, 손님이 있을 때는 항상 푸짐한 음식을 준비한다. 손님에게 음식이 부족한 것은 주인에게 굴욕적인 일이다. 식사를 마치면 쌀 바구니를 닫는 것이 관례다.
7. 대표 요리
== 대표 요리 ==
라오스 요리는 다양한 재료와 독특한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메콩강을 비롯한 풍부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한 다채로운 식재료와, 특유의 향신료와 소스를 활용한 요리들이 많다. 특히, 절임 요리(솜, Som)와 샐러드(탐, Tam)는 라오스 요리의 대표적인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외에도 다양한 고기 요리와 쌀 요리가 있으며,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영향을 받은 요리들도 존재한다. 다음은 대표적인 라오스 요리들을 소개한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전채 요리로는 깝 껭(Kap kaem, ກັບແກ້ມ)이 있는데, 이는 메인 요리 전 간식이나 맥주 안주로 제공된다. 여기에는 튀긴 민물 조류인 까이펜(Kaipen, ໄກ່ເຜັງ), 거꾸로 채워진 계란 요리인 카이 쿠암(Khai khuam), 계란에 구멍을 뚫고 내용물을 빼낸 뒤 다른 재료를 섞어 다시 넣어 찐 또는 삶은 계란인 카이 누그(Khai nug), 볶은 물 시금치 요리인 쿠아 팍 봉(Khua pak bong, ຜັກບົ່ງ), 라오스식 소고기 완자인 룩 씬(Look seen, ລູກຊີ້ນ), 튀긴 메콩강 이끼, 여러 재료를 잎에 싸 먹는 미앙(Miang, ຫມ່ຽງ), 굵게 다진 돼지고기 소시지인 사이 콕(Sai kok, ໄສ້ກົກ), 구운 돼지고기 소시지인 사이 우아(Sai oua, ໄສ້ອ່ວາ), 급속 냉동한 라오스식 쇠고기 포인 씬 항(Seen hang, ຊີ້ນຫັ່ງ), 얇게 썬 쇠고기 포인 씬 사반(Seen savanh, ຊີ້ນສະຫວັນ), 라오스식 쇠고기 요리인 씬 톡(Seen tork, ຊີ້ນຕົກ), 절인 생선 알인 솜 카이 파(Som khai pa, ສົ້ມໄຂ່ປາ), 돼지껍데기가 들어간 절인 돼지고기인 솜 무(Som moo, ສົ້ມໝູ), 절인 생선인 솜 파(Som pa, ສົ້ມປາ), 절인 채소인 솜 팍 카드(Som phak kad, ສົ້ມຜັກກາດ), 절인 돼지 귀가 들어간 절인 양배추인 솜 팍 카이 룸 후 무(Som phak kai lum who moo, ສົ້ມຜັກໄກ່ລຸ່ມຫູໝູ), 라오스식 돼지고기 말이인 야우(Yaw, ຢາວ), 쌀 종이, 당면, 상추, 새우 등으로 만든 스프링롤인 야우 딥(Yaw dip, ຢາວດິບ), 튀긴 스프링롤인 야우 쥔(Yaw jeun, ຢາວເຈື່ອນ) 등이 있다.
라오스의 샐러드는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샐러드로는 라브(Larb), 남톡, 폰(Pon) 등이 있으며, ''탐솜(Tam som)''이라 불리는 라오스 고추, 라임 주스, 토마토, 어장/페이스트, 설탕을 기본으로 하는 샐러드는 게장과 새우장을 추가하기도 한다. 다양한 채소를 활용한 매운 샐러드들도 있는데, ''탐카오푼(Tam khao poon)'', ''탐막구(Tam mak guh)'', ''탐막홍(Tam mak hoong)'', ''툼막쿠아(Tum mak khua)'', ''탐막탱(Tam mak taeng)'', ''탐막투아(Tam mak thua)'' 등이 있다. 풋파파야 샐러드, 카오푼 샐러드, 풋바나나 샐러드, 주로쿠사사게 샐러드 등도 널리 알려져 있다.
7. 1. 딥
라오스에서 인기 있는 찍어 먹는 소스인 쨈(ແຈ່ວ)은 여러 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구운 가지로 만든 쨈 막 쿠아와 구운 방울토마토로 만든 쨈 막 렌이 있다. 쨈봉은 구운 고추, 돼지껍데기, 갈랑갈 등을 넣어 만든 달콤하고 매운 페이스트로 유명하다. 또한 튀긴 파댁, 생선, 구운 마늘, 고추, 레몬그라스 등을 넣어 만든 쨈 파댁도 있다. 이 외에도 구운 토마토, 고추, 고수로 만든 체오 막 렌(Cheo mak len)과 구운 카밋 나스(커밋 가지), 고추, 고수로 만든 체오 막 쿠아(Cheo mak khua), 그리고 체오 본(Cheo bon) 등 다양한 종류의 찍어 먹는 소스가 있다.7. 2. 전채 요리
깝 껭(Kap kaem, ກັບແກ້ມ)은 메인 요리 전 간식이나 맥주 안주로 제공되는 요리다. 대표적인 깝 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까이펜(Kaipen, ໄກ່ເຜັງ): 민물 조류를 튀긴 간식으로, 보통 자우 봉(jaew bong)과 함께 먹는다.
- 카이 쿠암(Khai khuam): 거꾸로 채워진 계란 요리이다.
- 카이 누그(Khai nug): 계란에 구멍을 뚫고 내용물을 빼낸 뒤, 노른자에 다른 재료를 섞어 다시 넣어 찐 또는 삶은 계란이다.
- 쿠아 팍 봉(Khua pak bong, ຜັກບົ່ງ): 볶은 물 시금치 요리다.
- 룩 씬(Look seen, ລູກຊີ້ນ): 라오스식 소고기 완자다.
- 메콩강 이끼(Mekong river moss): 메콩강에서 채취한 이끼를 튀긴 음식이다. 메콩강은 라오스의 중요한 수계이기에 이를 활용한 요리는 라오스 요리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준다.
- 미앙(Miang, ຫມ່ຽງ): 각종 재료를 잎에 싸 먹는 요리다. 재료의 다양성과 쌈 채소의 신선함이 특징이다.
- 사이 콕(Sai kok, ໄສ້ກົກ): 굵게 다진 돼지고기 소시지이다.
- 사이 우아(Sai oua, ໄສ້ອ່ວາ): 구운 돼지고기 소시지이다.
- 씬 항(Seen hang, ຊີ້ນຫັ່ງ): 급속 냉동한 라오스식 쇠고기 포이다.
- 씬 사반(Seen savanh, ຊີ້ນສະຫວັນ): 얇게 썬 쇠고기 포로, 달콤한 맛이 나며 참깨를 뿌려 먹는다.
- 씬 톡(Seen tork, ຊີ້ນຕົກ): 라오스식 쇠고기 요리다.
- 솜 카이 파(Som khai pa, ສົ້ມໄຂ່ປາ): 절인 생선 알이다.
- 솜 무(Som moo, ສົ້ມໝູ): 돼지껍데기가 들어간 절인 돼지고기(여름 소시지)이다.
- 솜 파(Som pa, ສົ້ມປາ): 절인 생선이다.
- 솜 팍 카드(Som phak kad, ສົ້ມຜັກກາດ): 절인 채소이다.
- 솜 팍 카이 룸 후 무(Som phak kai lum who moo, ສົ້ມຜັກໄກ່ລຸ່ມຫູໝູ): 절인 돼지 귀가 들어간 절인 양배추이다.
- 야우(Yaw, ຢາວ): 라오스식 돼지고기 말이로, 베트남의 짜 르아(Chả lụa, giò lụa)와 유사하다.
- 야우 딥(Yaw dip, ຢາວດິບ): 쌀 종이, 당면, 상추, 새우 등으로 만든 스프링롤의 일종이며, 땅콩 소스나 라오스식 단맛 소스와 함께 먹는다. 베트남의 괴 꾸온(gỏi cuốn)과 비슷하다.
- 야우 쥔(Yaw jeun, ຢາວເຈື່ອນ): 튀긴 스프링롤이다.
7. 3. 샐러드
라오스의 샐러드는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고기 샐러드로는 라브(Larb)가 있는데, 발효된 생선과 허브를 사용하여 만든 매운 다진 고기 샐러드로 생선, 오리,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뿐만 아니라 버섯도 사용된다. 남톡은 라브와 비슷한 고기 기반 샐러드이며, 스튜로도 만들어 먹는다. 익힌 생선으로 만든 매운 퓨레인 폰(Pon)도 샐러드의 한 종류다. 라오스 고추, 라임 주스, 토마토, 어장/페이스트, 설탕을 기본으로 하는 샐러드는 ''탐솜(Tam som)''이라 부르며, 게장과 새우장을 추가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샐러드가 있는데, 매운 소면 샐러드인 ''탐카오푼(Tam khao poon)'', 매운 플랜테인 샐러드인 ''탐막구(Tam mak guh)'', 매운 파파야 샐러드인 ''탐막홍(Tam mak hoong)'', 매운 가지 샐러드인 ''툼막쿠아(Tum mak khua)'', 매운 오이 샐러드인 ''탐막탱(Tam mak taeng)'', 매운 풋콩/긴콩 샐러드인 ''탐막투아(Tam mak thua)'' 등이 있다. 풋파파야 샐러드, 카오푼 샐러드, 풋바나나 샐러드, 주로쿠사사게 샐러드 등도 널리 알려진 라오스 샐러드이다.7. 4. 수프와 스튜
7. 5. 구운 요리
'''아한 핑''' ()은 라오스 요리에서 굽는 음식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구운 요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핑 가이(핑가이)는 허브로 맛을 낸 라오스식 닭구이이며, 핑 후아 페드는 구운 양념 오리 머리로 전채 요리로도 즐긴다. 핑 무는 구운 양념 돼지고기이고, 핑 파(핑파)는 향신료와 허브를 섞어 구운 생선 요리이다. 핑 페드는 구운 양념 오리, 핑 씬은 구운 양념 소고기, 핑 틴 가이는 구운 양념 닭발이다. 씬 닷은 라오스식 바비큐로 전통적인 고기와 채소를 돔 모양의 그리들에 구워 먹는다.7. 6. 찜 요리
라오스의 찜 요리는 ''아한능''(ອາຫານຫນື້ງ)이라 부르며, 다양한 재료를 바나나잎에 싸서 찌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바나나잎에 찐 생선인 ''목 파'', 닭고기인 ''목 가이'', 계란인 ''목 카이'', 생선 알인 ''목 카이 파''가 있다. 붉은 등나무 꽃을 넣고 찌는 ''우아 독 카에''와 바나나잎에 싼 스테이크인 ''티티 가이''도 있다. 와 도크 케어와 같은 다른 종류의 찜 요리도 존재한다.7. 7. 쌀 요리
라오스 요리에서 쌀은 주식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아한 깝 카오''(ອາຫານກັບເຂົ້າ)는 쌀을 주재료로 한 요리를 총칭하는 말이다. 대표적인 쌀 요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카오 니아오'''(ເຂົ້ານຽວ): 찐 찹쌀로, 보통 대나무 바구니에 담아 함께 나눠 먹는다. 코코넛 밀크나 팥 등을 넣어 달콤한 디저트로 만들기도 한다. 찹쌀
- '''카오 자오'''(ເຂົ້າຈ້ຽວ) 또는 '''카오 느엉''': 찐 흰쌀밥으로, 보통 자스민 쌀을 사용한다. 많은 볶음 요리의 재료로도 쓰인다. 증기밥
- '''카오 쿠아''' 또는 '''카오 팟''': 라오스식 볶음밥이다.
- '''카오 피악 카오'''(ເຂົ້າປຽກເຂົ້າ): 쌀죽으로, 피떡, 피단, 튀긴 양파나 마늘, 파 등을 고명으로 얹어 먹는다. 죽#라오스
- '''카오 핑'''(ເຂົ້າປິ່ງ) 또는 '''카오 지''': 계란으로 간을 한 구운 찹쌀이다. '카오 치'는 빵을 가리키는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카오 지
- '''남 카오''': 튀긴 쌀 공, ''솜 무''(솜무)라 불리는 발효 돼지고기 소시지, 다진 땅콩, 강판 코코넛, 썬 파나 샬롯, 민트, 고수, 라임 주스, 생선 소스 등을 넣어 만든 바삭한 쌀 샐러드이다. 남 카오
7. 8. 면 요리
라오스의 면 요리는 크게 국물이 있는 '젖은 국수'와 볶음 요리인 '마른 국수'로 나뉜다. 북부와 중부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높다. 대표적인 면 요리로는 다음과 같다.- '''퍼이 (ເຝີ)''' 또는 '''미 (ໝີ່)'''는 라오스식 포, 즉 쌀국수 수프이다. 퍼이는 라오스에서 널리 사랑받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다.
- '''카엥 센 론'''은 유리 국수와 미트볼을 넣어 만든 수프이다.
- 카오 피악 센은 닭고기 국물에 쌀가루 국수를 넣은 요리로, 베트남의 반 칸과 일본의 우동과 비슷하다. 태국에서는 "끄웨짭느언" (ก๋วยจั๊บญว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카오 푼은 쌀국수 수프로, "라오 락사"라고도 불린다.
- '''쿠아 미'''는 얇게 썬 계란말이를 얹은 팬에 볶은 쌀국수이다.
- 라드 나는 그레이비 소스를 얹은 볶음 국수이다.
- '''미 행'''은 채소와 고기를 곁들인 밀가루 국수이다.
- 미 카 티는 코코넛 밀크를 사용한 쌀국수이다.
- '''미 남'''은 채소와 고기 국물에 밀가루 국수를 넣은 요리이다.
- '''팟 라오'''는 살짝 섞은 계란과 함께 볶은 국수로, 팟타이와 비슷하다.
- 팟 키 마오는 볶은 넓은 쌀국수이다.
- '''팟 센 론'''은 볶은 유리 국수이다.
- 스키는 라오스식 스키야키이다.
- 윰 센 론은 유리 국수로 만든 새콤한 샐러드이다.
7. 9. 빵
빵은 프랑스에서 유입되었지만 라오스에서 매우 인기 있는 음식이다. 가장 흔한 형태는 작은 바게트인 카오 치 ()이다. 카오 지 파테()는 파테와 양념을 넣은 바게트로, 베트남의 반미와 비슷한 라오스식 샌드위치이다.7. 10. 디저트
라오스 디저트는 콩반(ຂອງຫວານ, '단 것들')이라고 불리며, 열대 과일과 찹쌀을 주재료로 다양한 케이크, 젤리, 음료, 커스터드 등이 있다. 대표적인 디저트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카오람: 붉은 콩, 코코넛, 코코넛 밀크, 설탕을 넣고 대나무에서 조리한 달콤한 찹쌀 요리이다.
- 카오 니아오 막 무앙: 코코넛과 망고를 곁들인 찹쌀밥이다.
- 카오 파드: 층이 독특한 젤리 같은 쌀 케이크로, 판단 잎을 사용하여 녹색을 띤다.
- 카오톰: 바나나 잎에 싼 찐 쌀로, 돼지고기, 바나나, 타로 등 다양한 속을 넣어 먹는다.
- 카놈 콕: 핫플레이트에서 만든 코코넛 경단이며, 파를 얹어 먹기도 한다.
- 카놈 마우 캥: 코코넛 커스터드 케이크이다.
- 카놈 납 (): 단 코코넛으로 속을 채운 쌀 경단이다.
- 롯 송: 쌀 젤리, 코코넛 밀크, 액화 야자 설탕으로 만든 녹색의 벌레 모양 디저트이다.
- 남 반: 타피오카와 두리안, 잭프루트, 마카다미아넛 등 다양한 과일을 넣어 만드는 디저트이다.
- 상카야: 카보차로 만든 커스터드이다.
- 분: 코코넛 밀크로 만든 젤리이다.
남 꽝, 카오팟, 카오끄랍 등도 라오스의 디저트로 분류될 수 있다.
8. 음료
라오스의 대표적인 음료는 커피, 전통주, 그리고 맥주로 나눌 수 있다. 커피는 팍송 커피(Pakxong coffee)라고 불리며, 동남아시아에서 커피 재배의 최적지로 꼽히는 볼라벤 고원에서 재배된다. 볼라벤 고원에서는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품종이 주로 재배되며, 아라비카는 주로 국내에서 소비되고 로부스타는 태국으로 수출되어 네스카페 제조에 사용된다. 네스카페 라오스 커피는 연유와 녹차를 곁들여 마시는 것이 관습이다. 고품질의 차 역시 볼라벤 고원에서 생산된다.[53]
전통적인 알코올 음료로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라오 하이(Lao hai)와 라오 라오(Lao lao)가 있다. 라오 하이는 항아리에 담아 마시는 술로, 축제 때 빨대를 이용하여 공동으로 마시는 풍습이 있다. 외관과 맛은 사케와 비슷하다. 사케 라오 라오는 위스키와 비슷한 맛을 지닌 발효주이며, 자줏빛을 띠는 쌀로 만든 변종도 인기가 있다.
맥주는 라오스 국영 양조장에서 생산하는 비어라오(Beerlao)가 가장 유명하다. 비어라오는 라오스에서 압도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방콕포스트''에서는 아시아 맥주의 돔 페리뇽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2004년 ''타임''지는 비어라오를 아시아 최고의 맥주로 선정했고, 2005년에는 러시아의 오시리스 맥주 축제에서 은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비어라오(Beerlao) 방콕포스트 타임 러시아
8. 1. 무알콜 음료
라오스 커피인 카 파이(Ca fay)는 인기 있는 음료이다. 사탕수수 주스인 남 오이(Nam oi)는 달콤하고 청량한 맛으로 사랑받는다. 남 푼(Nam pun)은 다양한 과일을 넣어 만드는 스무디이며, 코코넛 주스인 남 막 파우(Nam mak pow)는 코코넛 과육이 들어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아이스 커피인 올리앙(Oliang)은 블랙 커피 또는 연유를 첨가하여 마신다. 사아(Saa)는 라오스 전통 차이다. 과일(파인애플, 수박, 멜론 등)과 얼음을 갈아 만든 남 빵(Nam pang)과 라임 주스인 남 마크 나오(Nam mak nao)도 흔히 볼 수 있는 무알콜 음료이다.8. 2. 알콜 음료
라오스의 대표적인 알코올 음료로는 비어라오(Beerlao)라는 맥주가 있다. 비어라오(Beerlao) 외에도 쌀을 이용한 전통주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라오카오(Lao-khao)라는 쌀 와인과, 찹쌀로 만든 라오하이(Lao-hai)라는 쌀 와인이 있다. 라오 카오(Lao Khao) 와 라오 하이(Lao Hai) 는 라오스의 전통적인 술 제조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또한, 라오라오(Lao lao)라는 위스키도 있다. 라오 라오(Lao Lao) 는 라오스의 독특한 위스키로, 지역 특색을 담고 있다.참조
[1]
잡지
A Taste of Sticky Rice, Laos' National Dish
http://www.smithsoni[...]
2011-02-01
[2]
웹사이트
Rice Landscape Analysis - Feasibility of and opportunities for rice fortification in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s://www.wfp.org/[...]
World Food Programme
[3]
웹사이트
Laos at the crossroads
https://grain.org/ar[...]
[4]
웹사이트
Forklife: Children of Sticky Rice
https://folklife.si.[...]
Smithsonian Center for Folklife and Cultural Heritage
2018-05-18
[5]
학술지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Glutinous Rice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https://so03.tci-tha[...]
2016-12-27
[6]
서적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7]
서적
Real Thai the best of Thailand's regional cooking
Chronicle Books
1992
[8]
뉴스
L.A.'s Idea of Thai Food vs. What Thais Really Eat
http://blogs.laweekl[...]
2011-09-12
[9]
웹아카이브
http://zesterdaily.c[...]
2012-04-03
[10]
웹사이트
Laos Food - An introduction to Lao Food
http://www.laos-guid[...]
2014-10-09
[11]
서적
Frommer's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2011-06-09
[12]
서적
Asian Cuisines: Food Culture from East Asia to Turkey and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18
[13]
웹아카이브
http://www.sawadee.c[...]
2011-09-17
[14]
뉴스
Curry in Favor
https://www.chicagot[...]
1997-12-03
[15]
서적
The Curry Book: Memorable Flavors and Irresistible Recipes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1999
[16]
서적
Atul's Curr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5-12-17
[17]
잡지
Influences portugaises sur la cuisine cambodgienne
https://www.cambodge[...]
2022-02-07
[18]
웹사이트
Maritime Trade in the Philippines During the 15th Century CE
https://journals.ope[...]
[19]
서적
The Travels of Mendes Pint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20]
서적
The War in Tong-King: Why the French Are in Tong-King, and What They Are Doing There
Cupples, Upham
1884
[21]
서적
A New and Interesting Description of Lao Kingdom (1642-1648)
White Lotus Press
1998
[22]
서적
Description Du Royaume De Siam, Par Simon De Laloubère, envoyé Extraordinaire Du Roy auprès Du Roy De Siam: où l'on voit quelles sont les opinions, les moeurs & la religion des Siamois: avec plusieurs remarques de physique touchant les plantes & les animaux du pais
Chez David Mortier
1714
[23]
서적
The History of Plant Use in Laos: Analysis of European Accounts of Plant Use for Primarily Religious and Medicinal Purposes
https://repository.l[...]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4]
서적
Mission Pavie, exploration de l'Indo-Chine: mémoires et documents
Ernest Leroux
1894
[25]
서적
Exploration De L'Indo-Chine: mémoires Et Documents
Ernest Leroux
1894
[26]
서적
Dictionnaire Laotien
Ernest Leroux
1894
[27]
서적
Voyage d'exploration en Indochine, effectué pendant les anneés 1866, 1867 et 1868 par une commission française présidée par M. le capitaine de frégate, Doudart de Lagrée
Hachette et Cie
1873
[28]
서적
Voyage Dans Les Royaumes De Siam, De Cambodge, De Laos Et Autres Parties Centrales De L'Indo-Chine: Relation Extraite Du Journal Et De La Correspondance De L'auteur
Hachette
1868
[29]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Lao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
[30]
학술지
From Marco Polo to McDonald's: Thai cuisine in transition
http://laps-dept.app[...]
2010-04-30
[31]
뉴스
Laotians Waiting in Thai Camps for Chance to Fight Again
https://www.washingt[...]
[32]
서적
Thailand's boom
AlIen & Unwin
1996
[33]
웹사이트
MURILCA :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Mahidol University
http://www.lc.mahido[...]
[34]
간행물
The globalization of Thai cuisine
Canadian Council for Southeast Asian Studies Conference
2005
[35]
서적
Bangkok
Reaktion
2002
[36]
서적
A History of Thai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7]
학술지
Multiculturalism in Thailand: Cultural and Regional Resurgence in a Diverse Kingdom
2000
[38]
서적
Linguistic Diversity and National Unity: Language Ecology in Thaila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39]
웹사이트
Edith Cowan University
http://ro.ecu.edu.au[...]
Ro.ecu.edu.au
2015-02-17
[40]
논문
Low language in high places: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on grammar in the prose of 'Rong Wongsawa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3
[41]
웹사이트
Lao Food Movement
http://www.chefseng.[...]
Chef Seng
2015-02-17
[42]
서적
Laos
Rough Guides
2002
[43]
백과사전
Thailand | history – geography :: Cuisin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2-17
[44]
서적
Bangkok: city guide
Lonely Planet
2010
[45]
웹사이트
About Thai food
http://www.tourismth[...]
Tourismthailand.org
2015-02-17
[46]
웹사이트
Isan Meat Salad (Larb)
http://www.nationmul[...]
Nationmultimedia.com
2012-01-16
[47]
서적
Lao American Ethnic Economy
ABC-CLIO
2013
[48]
뉴스
Taste the World
https://www.honolulu[...]
2021-08-20
[49]
서적
Food Culture In Southeast Asia Penny Van Esterik
https://archive.org/[...]
[50]
웹사이트
Lao Fish Larb with Lime Lemongrass Dressing
https://eatwellenjoy[...]
2018-03-22
[51]
웹사이트
Mok Pa (Lao Steamed Fish in Banana Leaves)
https://beethelove.n[...]
2022-03-26
[52]
웹사이트
Raw shrimp spicy salads
https://www.zap.la/e[...]
[53]
서적
Rough guide to Laos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